안녕하세요, 줌마예요.
출산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에요. “이제 좀 쉬자”는 말은 현실에서 통하지 않아요. 밤새 수유, 호르몬 폭풍, 그리고 느닷없는 몸의 이상 신호들까지...
출산 직후의 시간은 “아기보다 나 자신이 더 불안한 시간”일 수도 있어요. 그런데 그 시기에, 국가나 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제도가 있다는 걸 정말 많은 분들이 모르고 지나가요.
그래서 오늘은 ‘출산 후 1년 이내, 반드시 챙겨야 할 산후 건강관리비 지원 제도’를 저의 경험으로 하나하나 짚어드릴게요.
1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– 국가가 제공하는 대표 산후 지원
먼저 가장 널리 시행되는 건 보건복지부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예요.
✔ 내용
전문 교육을 받은 건강관리사(산후도우미)가
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돌봄을 지원
✔ 지원 대상
-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
-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
- 다자녀, 장애인, 새터민, 결혼이민자 등은 소득 상관없이 우선지원
✔ 지원 내용
- 산모도우미 방문 서비스
- 최대 25일, 최소 5일
- 하루 8시간 근무, 식사·청소·아기 목욕 등 포함
✔ 지원금:
- 정부 지원금 약 90~140만 원, 본인부담금 별도
※ 신청 방법:
복지로 홈페이지 → 온라인 신청 또는 관할 보건소 직접 방문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
www.bokjiro.go.kr
2. 지자체별 추가 지원 – 몰라서 못 받는 건강관리비
각 지자체는 이 국가사업 외에도 별도의 산후 건강관리비를 추가 지원해요. 하지만 이건 홍보가 적고, 홈페이지에 숨어 있는 경우가 많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.
예를 들어....
- 서울시
- 출산 가정에 산후 회복기 건강관리비 20만 원 지원
- 신청기한: 출산일 기준 1년 이내
- 조건: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, 둘째 이상은 무조건 가능
- 인천광역시
- 산모 대상 산후 검사비, 영양제 구매비 30만 원까지 지원
- 산후 6개월 이내 병원 진료 영수증 제출 시 환급
- 부산광역시
- 산후 3개월 이내 산모 건강검진 비용 최대 20만 원 지원
- 자녀 수 상관없이 신청 가능
※ 지자체 홈페이지 or 보건소 전화 문의로 확인 가능
3. 국민행복카드 – 출산 전후 모든 혜택을 통합한 카드
출산하면 병원에서 자동으로 추천하는 ‘국민행복카드’, 그냥 임신진단서만 들고 가서 발급받는 카드죠?
근데 이 카드 안에
✔ 산모 진료비
✔ 임신 관련 병원비
✔ 출산 후 건강관리
✔ 기저귀, 분유 등 구매 등등 다양한 지원이 들어 있어요.
※ 2025년 기준
- 임신 1회당 지원 한도 100만 원
- 쌍둥이 이상 140만 원
- 사용기간: 임신확인일 ~ 출산 후 1년까지
- 온라인, 병원, 약국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 가능
4. 이런 분들, 특히 꼭 챙기세요
✔ 첫 출산이라 모든 제도를 처음 접하는 분
✔ 신생아 돌봄으로 외출이 어렵고, 정보 접근이 제한된 분
✔ 출산 후 신체 회복이 느려 병원 방문 잦은 분
✔ 기준 중위소득이 150% 이하인 워킹맘 또는 전업맘
※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예시 (2025년 기준)
- 3인 가구: 약 680만 원
- 4인 가구: 약 820만 원
5. 경험을 통한 조언 – 산후 지원은 ‘사치’가 아니라 ‘권리’예요
출산 후, “도움 필요하세요?”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 건 그리 많지 않아요. 몸도 회복 중이고, 정신은 아이에게 온통 쏠려 있는 그 시기에 내가 “이거 받을 수 있나요?”라고 말하는 건 어쩌면 용기가 필요할지도 몰라요.
하지만 분명히 말씀드릴게요.
이건 도움을 요청하는 게 아니라, 내가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찾는 일이에요.
✔ 지원은 한정되어 있지만, 신청은 상시 가능
✔ 영수증만 챙겨도 현금 환급 가능한 제도 다수
✔ 꼭 ‘출산 직후’가 아니어도 산후 6개월, 1년까지 신청 가능
#산모건강관리지원 #출산후몰라서못받는지원 #산모도우미제도 #국민행복카드활용법 #지자체복지정리 #출산복지총정리 #생활지원금정보 #지식is머니 #줌마의정책리포트 #2025정부지원금
'지식은 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본인부담 의료비 경감 제도 - 병원비 부담 확 줄이는 현실 복지 (1) | 2025.04.08 |
---|---|
어르신 기초연금, 추가혜택 총정리 - 몰라서 못 받는 70세 이상 지원금 (0) | 2025.04.08 |
경단녀 재취업 지원금 – 다시 일하고 싶은 엄마들을 위한 현실적 제도 (1) | 2025.04.07 |
2025년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– 갑자기 소득이 끊기면 받을 수 있는 제도 (1) | 2025.04.06 |
2025년 청년 월세 지원금 – 무직자도 받을 수 있을까? (2) | 2025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