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지식은 돈

정부지원금으로 실제 창업비용의 얼마나 충당할 수 있을까?

by 연구소 소장 2025. 5. 8.

정부지원금으로 실제 창업비용의 얼마나 충당할 수 있을까
정부지원금으로 실제 창업비용의 얼마나 충당할 수 있을까

 

안녕하세요, 연구소장입니다.


카페, 치킨, 분식집 창업비용이 수천만 원에서 1억 원을 훌쩍 넘는다는 거, 앞선 포스팅에서 이미 다뤘어요.

그런데 그 많은 비용을 과연 다 사비로 충당해야 할까요? 답은 아니요입니다.

 

정부와 지자체,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있고, 이것만 잘 활용해도 창업비용의 30~50%는 줄일 수 있어요.

 

오늘은 그 실질적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 뜬구름 잡는 말 없이,  ‘실제 숫자’로 설명드릴게요.


1. 정부의 창업지원금, 얼마나 있나요?

구분 주요 항목 최대 지원금
초기 창업패키지 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 최대 1억 원 (평균 3,000~5,000만원)
청년창업사관학교 시설/장비/시제품 제작비 등 최대 1억원 (70~80% 지원)
소상공인 정책자금 시설/운전자금 대출(저금리) 5천~1억원 (연 2~3% 수준)
지자체 지원사업 인테리어/임대료/홍보비 지원 300~2,000만원 (지역마다 다름)
여성·경력단절자 창업지원 교육 + 시제품/공간 지원 200~500만원 + 공간 무상제공

2. 예비 창업자가 받을 수 있는 주요 사업 3가지

 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‘창업성공패키지’

  • 지원대상: 만 39세 이하 or 경력단절 여성 등
  • 지원내용: 시제품 개발비, 마케팅비, 외부전문가 컨설팅 등
  • 지원금 규모: 최대 5,000만원 이내 (자부담 비율 있음)

 ② 청년창업사관학교

  • 지원대상: 만 39세 이하 청년, 예비창업자 or 3년 미만 창업자
  • 지원내용: 교육 + 사무공간 + 시제품 제작 + 마케팅
  • 지원비율: 70% 정부, 30% 자부담
  • 예상 수혜금액: 평균 7천~8천만 원 상당

 ③ 지역 지자체 창업 지원금

  • 서울: 서울창업허브, 소셜벤처 허브 등 → 최대 3천만 원 지원
  • 경기: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→ 시설보수·임대료 지원
  • 부산: 청년창업지원센터, 창업성장캠퍼스 → 공간 무상제공 + 현금 1천만 원 이상
  • 인천: 1인창조기업 지원센터, 송도 벤처지원 → 공간 + 마케팅 + 홍보비

3. 정부지원금으로 커버 가능한 창업비용 항목

항목 지원 가능 여부 세부 내용
보증금/권리금 ❌ 불가 임대차 계약금은 지원 안 됨
인테리어 ⭕ 일부 가능 지자체/소진공 지원 대상
초도 물품비 ⭕ 일부 가능 시제품 제작비, 기초 물품 포함
마케팅비 ⭕ 가능 블로그, SNS, 홍보물 제작 등
교육비/컨설팅 ⭕ 가능 창업 교육 포함, 전문가 매칭
창업공간 ⭕ 무상제공 가능 청년창업센터, 1인기업센터 등

4. 실제로 얼마나 커버 가능한가요?

✔️ 예시: 30대 여성, 예비 창업자 (카페 창업, 서울 거주)

항목 비용 정부 지원 자부담
인테리어 3,000만원 1,500만원 (서울시 지원금) 1,500만원
기기/물품 1,500만원 500만원 (창업성공패키지) 1,000만원
마케팅 300만원 300만원 전액 (패키지 지원) 0원
교육·컨설팅 200만원 200만원 전액 (정부 지원) 0원
공간 월 100만원 → 0원 청년창업센터 무상제공 -

 

- 총 창업비용 약 7,000만원 중, 약 2,500~3,000만원 지원 가능
- 실제 자부담 약 4,000만원 수준으로 창업 가능


5. 현실 팁

  • 모든 지원금은 ‘계획서’가 80%입니다. 감동이 아니라 논리가 중요해요.
  • 중복 수령이 가능한 사업도 많아요. 정부+지자체+공공기관 등
  • 신청 타이밍 중요: 연초 모집, 상반기 발표가 대부분. 놓치면 1년 기다려야 해요.
  •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 검색은?
    👉 https://www.k-startup.go.kr
 

K-Startup 창업지원포털

중소벤처기업부 운영 창업지원포털 창업지원사업 정보 통합·제공 및 온라인창업교육, 창업공간정보, 온라인법인설립 서비스 제공

www.k-startup.go.kr

 


맺음말

창업을 포기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‘돈’이에요. 하지만 정부지원금을 제대로만 활용하면, 처음부터 끝까지 다 사비로 감당해야 할 필요는 없어요.

 

지원금 받고 준비 끝냈는데, 막상 오픈하면서 실수하는 분들 의외로 많거든요. 이번 글이 장미 블로그를 보는 분들에게 ‘한 걸음 더 나아갈 용기’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